영화로 푸는 인생 Q&A

영화 속 마음을 읽다 - “믿고 싶은 것만 믿는 사회, 우리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?”

CINEMIND 2025. 4. 5. 11:30
728x90
반응형

🎬 영화 속 마음을 읽다

“믿고 싶은 것만 믿는 사회, 우리는 어디를 향하고 있는가?”

— 《돈 룩 업》(2021)


“확실한 증거 앞에서도, 사람들은 여전히 자기 믿음을 고집한다.”

🧠 이론 배경

  • 확증 편향(confirmation bias): 사람은 기존 신념을 뒷받침하는 정보만 받아들이고, 반대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왜곡한다.
  • 인지 부조화(cognitive dissonance): 불편한 진실은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기 힘들기 때문에, 현실을 왜곡해서라도 심리적 일관성을 유지하려 한다.
  • 집단 동조(group conformity): 다수가 믿는 정보에 개인은 비판 없이 따르게 되며, 개인의 판단은 쉽게 침묵하거나 왜곡된다.

🎥 영화 장면 설명

  • 천문학자 랜들 민디 박사(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)와 대학원생 케이트 디비아스키(제니퍼 로렌스)는 지구를 향해 돌진 중인 혜성을 발견한다. 충돌까지는 단 6개월.
  • 두 사람은 NASA, 백악관, 방송사, SNS에 이 사실을 알리지만, 반응은 냉담하다. 과학적 사실보다 정치적 유불리, 조회 수, 밈화가 더 중요하게 작동한다.
  • 정확한 수치, 궤도 계산, 충돌 시뮬레이션이 있음에도 사람들은 이렇게 반응한다. “그게 진짜인가요?”, “과학자도 정치적이잖아요.”, “어쩌면 다 계획된 거 아닐까요?”
  • “돈 룩 업(Don’t Look Up)”이라는 구호는, 진실을 외면하고 싶은 사람들의 집단 자기암시로 기능한다. 반면 “룩 업(Look Up)” 진영은,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외치지만 점점 외면당한다.
  • 결국 혜성은 실제로 하늘에서 보이게 되지만, 사람들은 그제서야 “이제는 믿는다”고 말한다. 하지만 이미 너무 늦었다.

🔍 심리학과의 연결

  • 인간은 언제나 '사실'보다 '느낌'을 우선시한다. “믿고 싶은 것”이 “사실일지도 모르는 것”보다 훨씬 더 편하다.
  • 확증 편향은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만들며, 스스로에게 유리한 이야기만 믿게 만든다. 영화 속 대통령과 언론은 이 점을 철저히 이용한다.
  • 인지 부조화는 ‘지구가 멸망할 것’이라는 사실이 주는 불편함을 회피하게 만든다. 그래서 사람들은 “혜성이 아니라 음모다”, “과장이다”라고 외친다.
  • 집단 동조는 SNS와 여론몰이를 통해 더욱 증폭된다. 주변 모두가 “혜성은 없다”고 말하면, 과학적 근거는 더 이상 의미가 없어지는 사회가 된다.
  • 결국 영화는 묻는다. “우리 사회는 사실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?” “당신은 지금, 무엇을 보고 있는가?”
“사실은 불편하고, 믿음은 달콤하다. 그래서 사람들은 후자를 선택한다.”

💬 당신에게 던지는 질문

  • 나는 얼마나 자주 ‘내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’ 있는가?
  • 불편한 정보, 나와 다른 의견 앞에서 나는 어떤 태도를 취하는가?
  • 진실보다 감정을 선택한 적은 없었는가?

📌 “눈을 감는다고 세상이 멈추는 건 아니다.”

  • 《돈 룩 업》은 유쾌한 풍자 속에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있는 심리적 진실을 직면하게 만든다.
  • ‘본다’는 건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, 사실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는 일이다.

 

 

728x90
반응형